이 영상은 앞의 파주상업학교와 연결되는 AFAK(대한군사원조) 프로그램 일환에서 문산중학교와 농업학교 건축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1962년 ‘파주린치’ 사건 이후 한미친선협의회 차원에서 미군기지 주변 도시에 소재한 병원 및 학교 등을 건축하는 AFAK 프로젝트가 이뤄졌다. 이 차원에서 파주에 초등학교, 중고등학교를 비롯한 교사와 금촌민사병원 건축이 진행되었다. 영상에 학교 건물 외에도 농업학교에서 운영하는 소규모 농장이 마련되었다. 이 영상을 촬영한 부대는 미 육군성 특별사진과(department of the army special photographic office, SPDP)이며 같은 4과의 웨이드(Wade)가 담당했다. 이 사진과는 1962년에 미국 본토, 파나마, 태평양 등 3개 구역으로 나눠 조직되었고 국방부, 합동참모부, 미 의회 등에 영상을 제공하기도 했다. 특히 이 부대는 대통령 존 케네디(JFK)의 명령에 따라 무한한 권한을 지녔고 베트남 전쟁을 계기로 확장되었다.
video | 50초 |
아이템 보기이 영상은 앞의 파주상업학교와 연결되는 AFAK(대한군사원조) 프로그램 일환에서 문산중학교와 농업학교 건축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1962년 ‘파주린치’ 사건 이후 한미친선협의회 차원에서 미군기지 주변 도시에 소재한 병원 및 학교 등을 건축하는 AFAK 프로젝트가 이뤄졌다. 이 차원에서 파주에 초등학교, 중고등학교를 비롯한 교사와 금촌민사병원 건축이 진행되었다. 영상에 학교 건물 외에도 농업학교에서 운영하는 소규모 농장이 마련되었다. 이 영상을 촬영한 부대는 미 육군성 특별사진과(department of the army special photographic office, SPDP)이며 같은 4과의 웨이드(Wade)가 담당했다. 이 사진과는 1962년에 미국 본토, 파나마, 태평양 등 3개 구역으로 나눠 조직되었고 국방부, 합동참모부, 미 의회 등에 영상을 제공하기도 했다. 특히 이 부대는 대통령 존 케네디(JFK)의 명령에 따라 무한한 권한을 지녔고 베트남 전쟁을 계기로 확장되었다.
video | 27초 |
아이템 보기이 영상은 앞의 영상 LC-47511와 이어지며 문산농업학교뿐만 아니라 파주 내 상광보린원과 박애원 건축, 고아원들 모습이 담겨 있다. 앞의 영상과 동일하게 미군대한원조 프로젝트에서 시작된 건축 사업이다. 파주에는 고아원과 육아원 등 15개 이상 소재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대부분 한국전쟁 시기 설립되었다고 한다. 1962년 ‘파주린치’ 사건 이후 한미친선협의회 차원에서 미군기지 주변 도시에 소재한 병원 및 학교 등을 건축하는 AFAK(대한군사원조) 프로젝트가 이뤄졌다. 이 차원에서 파주에 초등학교, 중고등학교를비롯한 교사와 금촌민사병원 건축이 진행되었다. 영상에 학교 건물 외에도 농업학교에서 운영하는 소규모 농장이 마련되었다. 이 영상을 촬영한 부대는 미 육군성 특별사진과(department of the army special photographic office, SPDP)이며 같은 4과의 웨이드(Wade)가 담당했다. 이 사진과는 1962년에 미국 본토, 파나마, 태평양 등 3개 구역으로 나눠 조직되었고 국방부, 합동참모부, 미 의회 등에 영상을 제공하기도 했다. 특히 이 부대는 대통령 존 케네디(JFK)의 명령에 따라 무한한 권한을 지녔고 베트남 전쟁을 계기로 확장되었다
video | 7분37초 |
아이템 보기이 영상은 앞의 파주상업학교와 연결되는 AFAK(대한군사원조) 프로그램 일환에서 문산중학교와 농업학교 건축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1962년 ‘파주린치’ 사건 이후 한미친선협의회 차원에서 미군기지 주변 도시에 소재한 병원 및 학교 등을 건축하는 AFAK 프로젝트가 이뤄졌다. 이 차원에서 파주에 초등학교, 중고등학교를 비롯한 교사와 금촌민사병원 건축이 진행되었다. 영상에 학교 건물 외에도 농업학교에서 운영하는 소규모 농장이 마련되었다. 이 영상을 촬영한 부대는 미 육군성 특별사진과(department of the army special photographic office, SPDP)이며 같은 4과의 웨이드(Wade)가 담당했다. 이 사진과는 1962년에 미국 본토, 파나마, 태평양 등 3개 구역으로 나눠 조직되었고 국방부, 합동참모부, 미 의회 등에 영상을 제공하기도 했다. 특히 이 부대는 대통령 존 케네디(JFK)의 명령에 따라 무한한 권한을 지녔고 베트남 전쟁을 계기로 확장되었다.
video | 7분 58초 |
아이템 보기이 영상은 1951년 10월 18일 임진강 일대에 주둔한 캐나다군의 훈련 모습을 볼 수 있다. 특히 문산 민간인들이 캐나다군의 훈련하는 장면을 지켜보고 있다. 영상에 나오는 주민들의 표정과 모습이 이채롭다.
video | 9분42초 |
아이템 보기이 영상은 1953년 4월 17일 판문점 이동병원 천막에서 귀환 미군포로들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앞 장면에서 귀환한 미군포로들이 의사와 정보장교들 사이 대화가 이어가고 있다. 또한 의사와 간호장병들이 인터뷰하는 장면이 이어지고 있다. 한편 문산리 인근 경비행 활주로가 있다.
video | 10분25초 |
아이템 보기이 영상은 문산에서 남쪽으로 피난을 떠는 장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1950년 6월 25일부터 파주 지역 각 면마다 남성들을 중심으로 일부가 피난을 떠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월롱면 남자들은 김포나 고양 등지에 피난을 떠나거나 자원입대했다고 한다. 노인, 여성, 아이들은 피난을 떠나지 않고 현지에 거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51년 1.4 후퇴에 월롱면 주민들은 그렇게 흩어져 피난을 떠나거나 현지에 거주했다. 하지만 금촌이나 다른 면에서는 남쪽으로 피난을 떠나기도 했다
video | 4:33 (총9:36) |
아이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