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em object

POW EXCHANGE (PUSAN)

이 영상은 1954년 1월 20일 중국 반공포로들이 트럭으로 이동하고 중간 하역지에서 내려 DDT 살포하고 식사하는 장면을 담았다.

video | 4분 30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부산1포로수용소 입소와 위생점검, 식사

이 영상은 1951년 2월 16일부터 17일 사이 부산제1포로수용소에서 전쟁포로들을 처리하는 장면이다. 수용소에 들어온 포로들은 위생점검을 받고 전염병 예방 백신을 접종 받았다. 이어서 소독과 새로운 의복으로 갈아입었다. 포로들은 상의, 하의, 신발, 식기류 등을 지급 받은 뒤에 식사를 할 수 있었다.

video | 9분8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부산1포로수용소의 식사, 치료

이 영상은 1951년 2월 22일 부산포로수용소에서 식사와 치료를 받는 포로들의 모습을 담고 있다. 제1부산포로수용소에서 포로들이 배식 받는 장면이 이어진다. 이 시기 포로들은 점차 거제도로 이송되고 있었다. 포로들은 배식을 받고 주변에서 식사를 하고 있었다. 부산병원수용소의 건물과 병원에서 수술이 진행되고 있는 장면을 보면 14야전병원에서 포로가 수술을 받는데 동상 환자로 보인다. 의사, 보조의사, 간호사 등 여러 직원들이 환자를 치료하는 장면이 있다. 또한 부산포로수용소에 방문한 국제적십자사 요원이 포로들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전쟁 초기 국재적십자 요원이 유엔군 관할 수용소에 방문해 관리 실태, 위생상태 등을 점검해 스위스 본부에 보고했다.

video | 8분14초 |

아이템 보기
item object

부산1포로수용소 입소와 위생점검, 배구하는 모습

이 영상은 포로 포획 이후 부산포로수용소에서 다시 포로등록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포로들은 포획된 직후 포로집결소에서 1차 포로등록을 마치고 임시포로수용소에 이송한 뒤 포로심문을 받고 정식 수용소로 이동한다. 그러나 포로들은 정식 수용소 부산포로수용소에서 다시 포로등록을 받는다. 포로등록 이후 포로들은 옷 외에도 밥그릇, 국그릇, 컵뿐만 아니라 칫솔 및 치약, 신발 등을 지급 받았다. 차용한 옷의 앞뒤와 바지에 ‘PW’ 전쟁포로라는 붉은 색으로 표시가 되었다. 수용소에 입소하면 포로들은 머리부터 시작해 온몸에 DDT 소독약을 뿌려졌다. 이어서 포로들은 이발한 뒤 늦은 식사를 마칠 수 있었다. 이처럼 포로수용소에서 포로처리 매뉴얼은 1950년 9월 14일 미 육군 헌병 현장매뉴얼(Field Manual Military Police) FM 19-5와 FM 19-10(헌병작전 매뉴얼) 이 매뉴얼은 1945년 1월 2일 처음 적용되었다가 1947년 4월 8일 개정을 거쳐 1950년 9월 14일 재개정, 1955년 1월 24일 수정되었다. 에 따라 적용되었다. 특히 FM 19-10에는 포로 및 민간인억류자 포획부터 처리규정을 담고 있다. 그 이후 1952년 5월 1일 FM 19-40(전쟁포로처리) 매뉴얼이 등장했다. 이 영상의 특징은 1947년 4월 8일 미 헌병대 작전 매뉴얼(FM 19-10)에 기초해 포로들의 등록과 신체검사, 수용소 조직, 배식 등 포로처리과정을 담고 있다.

video | 10분46초 |

아이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