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영상은 1951년 6월 7일 임진강 중간 지점에서 가교를 건설해 이동하는 장면이다. 영연방군은 영국군, 호주, 캐나다, 호주, 일부 인도 의료부대를 포함하고 있었다. 이 1영연방사단은 적성면 감악산 외에도 임진강 적성면 두지리와 주월리 일대에서 작전을 펼쳤다. 영상에 나오는 임진강 가교는 정확하게 어느 곳인지 알 수 없다. 촬영은 연합군최고사령부 예하 통신중대이지만 정확한 부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코네리는 연합군최고사령부 24군단 123통신사진중대에서 활동했다.
video | 9분12초 |
아이템 보기이 영상은 1951년 6월 4일 임진강 일대에 홍수와 주변 다리 모습을 담고 있다. 문산가도(1번국도)와 주변 풍경이 이채롭다. 이 시기는 기러기 다리가 가설되기 이전 임진강 일대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영상이라고 하겠다.
video | 9분51초 |
아이템 보기이 영상은 앞의 ADC-9199와 연결되는 영상이다. 1951년 9월 임진강 일대에 주둔하고 있는 1영연방사단 예하 부대들의 기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영연방사단에는 영국군 27독립여단을 비롯해 호주, 뉴질랜드, 캐나다, 인도군 등으로 편성되어 있었다. 기지는 적성면 설마리와 감악산 일대와 임진강 상류 지역에 포진했다. 영상은 영국군과 캐나다, 인도 의료지원부대 주둔지를 중심으로 보여주고 있다.
video | 9분40초 |
아이템 보기이 영상은 1952년 10월 14일 304통신운영대대에서 자유의 다리(임진철교, 문산읍 마정리-장단면 노상리)를 복수하는 것을 담고 있다. 이 공사는 2건설공병단 84건설공병대대가 직접 나섰는데 기존 임진강 철교의 보수공사와 문산읍 마정리 ‘독개다리’와 연결하는 다리 공사를 맡아 진행된 것이다.
video | 10분58초 |
아이템 보기이 영상은 1951년 9월 27·28일 양일간 한국근무단 대원들이 임진강 일대에서 홍수로 유실된 다리를 건설하는데 동원되었다. 유실된 다리는 기러기(Honker) 다리이며 여러 차례 홍수로 인해 파괴되고 말았다. 근무단 병사들이 직접 돌을 이용해 복구하는 장면이 이채롭다. 영상은 극동사령부 예하 226통신중대 베리스가 촬영한 것이다. 226통신중대는 포로수용소에서 포로들의 활동 등을 촬영했다.
video | 6분48초 |
아이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