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NMUNJOM
개성과 판문점에서의 정전회담
미군 DMZ 정찰헌병의 근무 전 준비(물품 지급, 현장 및 근무수칙 교육)
북한군이 포획된 어민 3명 석방
석방을 위해 판문점으로 떠나는 미송환포로(북한인민군·중국인민지원군)
정전협정 조인식(선유리 유엔군임시사령부, 판문점) 1
정전협정 조인식(선유리 유엔군임시사령부, 판문점) 2
정전회담 전 모습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 미군 DMZ 정찰헌병의 일상
판문점 군사정전위원회 회의
판문점 군사정전위원회 회의
판문점 군사정전위원회 회의와 판문점 전경
판문점 자유의 집
판문점 전경
판문점에서 북한 측의 정전협정 위반을 두고 열린 군사정전위원회 회의
판문점에서의 부상포로교환 작전
판문점으로 들어서는 미군과 중립국감시위원회 / 노획된 북한의 침투 무기
헬기에서 바라본 눈 덮인 공동경비구역 / 돌아오지 않는 다리와 북측 경비초소
헬기에서 본 DMZ와 파주 전경(철책, 초소, 철교 등)
헬기에서 본 판문점 전경 / 미군 기갑부대 훈련
판문점에서 북한군 기자들이 카메라를 들고 촬영하는 장면, 미군이 북한군을 촬영하는 장면이 나온다. 회의장 안을 촬영하는 북한과 미군들이 보이고, 판문각과 이동하는 북한군 모습 등이 이어진다. 전시된 각종 탄창과 총 등이 나온다.
video | 11분02초 |
아이템 보기이 영상은 1951년 9월 24일 개성에서 판문점으로 정전협상 장소를 이전을 논의하는 시기이다. 앞의 영상 중 ADC-9558은 1951년 10월 18일 촬영분인데 개성에서 판문점으로 이동한 뒤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NPC-14703 영상은 개성과 판문점 등을 교차해 보여주고 있는데 회담장소를 논의하는 것으로 보인다.
video | 4분23초 |
아이템 보기이 영상은 1959년 125통신사진중대에서 파주 DMZ에서 촬영한 것으로 DMZ 일대 표지판과 각종 경고판 등을 담고 있는데 앞의 LC-44331와 유사하다. 하지만 영상에서 DMZ 근무 수칙과 보고 방법 등을 기술한 포스터 등을 보여주고 있다. DMZ 내 근무자가 민간행정, 경비, 정보 등 세 분야에서 활동해야했다. 특히 영상은 사진이나 문서에서 확인할 수 없는 개개인의 DMZ 활동 수칙 등이 상세히 언급된 것은 매우 중요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 125통신중대는 2차 세계대전부터 한국전쟁, 베트남 전쟁 등에서 활약했다.
video | 5분19초 |
아이템 보기이 영상은 1955년 9월 13일 북한군에 포획된 한국군 3명을 석방하는 장면이다. 영상에 나오는 한국인3명의 ‘어민(Fishermen)’은 1953년 9월 15일 언론에서 한국군이라고 알려졌다(『동아일보』, 1955. 9.15). 신문에서 9월 13일 북한은 “간첩으로 포로된 한국군 3명을 석방하겠다”고 했다. 유엔군과 북한합동군사휴전위원단 비서회의에서 북한은 17일 판문점에서 한국군 3명을 유엔측에 인도하겠다고 했다. 이에 유엔군 측은 “한국군 3명이 무장간첩으로 북한에 파견되었다는 북한군측 비난을 부인했다”고한다. 북한 주장은 3명의 한국군이 7월 22일 간첩을 목적으로 다수의 북한어부들을 납치하기 위하여 2명의 무장간첩을 북한수역에 파견했다고 비난했다. 영상 설명에는 “141차 군사정전위원회 회의에서 3명의 어부가 북한에서 데려오고 있다.”라고 적고 있다. 아주 짧은 영상이지만 초기 판문점과 중립국감독위원회 주변을 보여주고 있다.
video | 01:00 (총 10:05) |
아이템 보기이 영상은 1954년 1월 20일 해병1사단 통신부대에서 판문점으로 향하는 미송환 중국인민지원군 포로들, 미송환 북한인민군 포로들이 석방되는 장면이다. 전체 약 14,000명 중국인민지원군 포로들 가운데제주 모슬포에 수용되었다가 인천 부평제10포로수용소에서 잠시 휴식한 뒤 자유의 다리를 거쳐 판문점으로 이동했다. 이들은 당일 인천항에서 대만 지룽항으로 출항했다. 일부 포로들은 비행기를 이용해 대만으로 이동했다. 또한 1953년 6월 18일 이승만 지시에 탈출하지 못한 북한인민군 포로들이 판문점에서 석방되어 포항 제2육군신병훈련소로 이동해 군사 및 재교육 등을 받았다.
video | 9분28초 |
아이템 보기이 영상은 1953년 7월 27일 북한 소재 판문점 조인장(지금의 평화박물관) 주변 모습과 같은 오후 1시 선유리 유엔군임시사령부에서 유엔군 관계자가 사전에 조인하고 기자회견 장면이 담겨 있다. 보통 판문점 조인장 영상이 유엔군임시사령부에서 유엔군 관계자가 사전 조인하는 장면을 동일하게 편집되어 방송 언론에 소개되고 있다. 따라서 본 영상은 판문점과 선유리 유엔임시사령부 조인과 기자회견이 다른 것을 보여주고 있다. 제목에 등장하는 운크라 영상부대(UNKRA Film Unit)는 1950년 12월 1일 유엔의 결의에 따라 유엔한국재건단(United Nations Korean Reconstruction Agency, UNKRA) 소속이며 주로 한국에서 구호활동 등을 촬영해 유엔홍보부 등에 제공했다. 304통신운영대대는 용산기지에본부를 둔 미 8군 사령부 지휘 아래 활동한 유명한 부대이며 전쟁포로 교환 작전과 전후 1970년대까지 활동했다.
video | 8분39초 |
아이템 보기이 영상은 앞의 LC-34222와 연결되는 영상이다.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 조인식 장면이다. 304통신운영대대는 용산기지에 본부를 둔 미 8군 사령부 지휘 아래 활동한 유명한 부대이며 전쟁포로교환작전과 전후 1970년대까지 활동했다.
video | 7분55초 |
아이템 보기이 영상은 1956년 3월 기점에서 판문점의 공동경비구역과 돌아오지 않는 다리, 비무장지대 내 표지판 등을 볼 수 있다. 공동경비구역 내 북한인민군 경비병이 자유롭게 순찰하는 장면과 미군 촬영 사병이 인민군 경비병을 촬영하는 장면이 매우 인상적이다. 전체 영상은 구성이나 흐름에서도 매우 우수한 편이다.
video | 10분27초 |
아이템 보기이 영상은 파주 군내면 조산리 일대 판문점과 역대 6명의 미국 대통령들이 방문한 ‘메이즈’(지금의 오울렛 초소)와 판문점 회담장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메이즈 초기 모습이 담긴 영상은 향후 전시와 연계해 활용될 수 있다.
video | 5분19초 |
아이템 보기미군, 북한군, 유엔군 경비병들과 함께 군사정전위원회 회의하는 장면들, 방문자가 주변을 둘러 보고 있다. Harry Sands(USAF) 장군은 회의 장소를 떠나 차를 타고 출발한다. 북한 경비병들이 행진하고 있다. 한국 언론인들은 북한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video | 6분25초 |
아이템 보기판문점에서 북한군 기자들이 카메라를 들고 촬영하는 장면, 미군이 북한군을 촬영하는 장면이 나온다. 회의장 안을 촬영하는 북한과 미군들이 보이고, 판문각과 이동하는 북한군 모습 등이 이어진다. 전시된 각종 탄창과 총 등이 나온다.
video | 11분02초 |
아이템 보기이 영상은 1965년 11월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남쪽 지역에 ‘자유의 집’ 건축된 모습을 볼 수 있다. 남북 사이 충돌 위기 상태에서 새롭게 등장한 ‘자유의 집’은 북한이 규정을 위반해 건축물을 건축하자 이에 대응해서 세워진 것이다. 영상 앞부분은 베트남에서 미군의 학교 건설 장면이 있다.
video | 04:56-07:13 (07:45) |
아이템 보기판문점의 회담장소가 보이며 그 주변에 경비병 헌병들이 서 있다. 회담장에서 창문을 통해 보는 경비병과 회장장 안에 있는 북한군 모습 등이다. 이 영상은 군사정전위원회가 열린 판문점이다.
video | 10분11초 |
아이템 보기이 영상은 1968년 6월 판문점 자유의 집 부근에서 북한의 침투 관련 무기들이 전시되고 있다. 이 시기 김신조의 청와대 습격사건과 푸에블로호 사건 등으로 위기촉발되었다. 자유의 집 앞에서 북한 노획 무기 전시는 김신조 사건 때 북한군들이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video | 8분44초 |
아이템 보기이 영상은 1969년 2월 판문점 상공에서 판문점 주요 건물과 공동경비구역 일대를 보여주고 있다. 이 눈보라치는 판문점 일대 모습이 매우 인상적이다.
video | 2분46초 |
아이템 보기이 영상은 1967년 9월 30일, 10월 3일 두 차례 나눠 파주 DMZ부터 철책 공사, 임진강 철교에 이르는 다양한 장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비무장지대가 철책으로 바뀌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그 외에도 판문점 및 공동경비구역(JSA), 전진초소 등을 공중 촬영한 장면이 포함되어 있다. 영상은 일반에 공개되는 것은 처음이다. 이 영상을 촬영한 부대는 미 육군성 특별사진과(department of the army special photographic office, SPDP)이며 같은 4과의 웨이드(Wade)가 담당했다. 이 사진과는 1962년에 미국 본토, 파나마, 태평양 등 3개 구역으로 나눠 조직되었고 국방부, 합동참모부, 미 의회 등에 영상을 제공하기도 했다. 특히 이 부대는 대통령 존 케네디(JFK)의 명령에 따라 무한한 권한을 지녔고 베트남 전쟁을 계기로 확장되었다.
video | 22분32초 |
아이템 보기